종주산행 305

백두대간5(성삼재-만복대-정령치-덕치리)

비가온다는 일기예보에 잔득 긴장하고 버스를 탔다. 고속도로에 올라서면서 빗방울이 차창을 스친다. 이번엔 지리산 자락 성삼재에서 시작해 고리봉-만복대-정령치-큰고리봉-고기마을-덕치리까지 간다. 성삼재 휴게소 바로 아래를 들머리로 우중산행을 시작한다. 들머리 비와 물안개로 조망은 전혀없다. 묘령치에서 바라본 만복대 여기서 우측으로 하산 정령치로 내려간다. 정령치휴게소 휴게소 2층에서 점심을 먹고나니 몸이 식어 한기를 느낀다. 우의를 입지않고 진행했기에 큰 보리봉까지 서둘러 가 한기를 없애야겠다. 비로 조망도 없고 해서 몇장 찍지 않았는데, 카메라에 물이 묻어 제대로 찍히질 않았다. 큰고리봉. 여기서 직진하면 바래봉길이고, 대간길은 여기서 왼쪽이다. 왼쪽으로 하산하면 고기마을로 내려 가게된다. 경주이씨 효자비..

장령1(금성산-수암재)

일요일이 5번이나 있는 6월 마지막 일요일에 홀로 산엘 간다. 지난번 천성장마를 갔다와서 글을 올리다 보니 청성장마가 장령지맥의 일부분이란걸 알았다. 작년 팔음지맥의 고생을 잊고, 한여름에 또 지맥길을 가보기로 한다. 계획은 1.금산 용지리-금성산-미륵재-삽재-성재-수암재-조정리재-민재-방화봉-비틀목재 2.비틀목재-국사봉-615봉-657봉-531봉-706봉-천태산-영국사 (천태산-대성산-장령산구간은 지난번것으로 대체하고) 3.장령산-도덕봉-질매기고개-함박산-돌남산-북바위-쇠소리재-마성산-며느리재-이슬봉-참나무골산-장계리 로 잡고, 금산 용지리로 향한다. 마전사거리에 차를 주차하고 택시(5천원)로 용지리 윗못골까지 간다. 택시기사분이 금성산엘 간다니, 저 나무아래에 내려주며 왼쪽으로 올라가란다. 예상 날머..

천성장마2(장령산-마성산)

차는 날머리인 옥천 가화로길에 주차하고 택시로 이원 강청리까지 이동. 천성장마 1구간때 금산고개에서 오른쪽 이원면 강청리방향 계곡으로 내려섰는데, 2구간은 계곡과 장찬저수지 사이의 산능선으로 올라서 금산고개로 향한다. 들머리로 잡은 곳은 옛길이 희미하고 풀과 잡목이 뒤섞여 길 찾기가 쉽지 않다. 수풀을 헤치고 올라서니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가 나온다. 두번째 작은 봉에 오르니 이원면이 보인다. 오른쪽으로 장찬저수지 상류가 살짝보인다. 왼쪽 큰산이 장령산. 그 너머 작은 산이 마성산. 지난번 계곡으로 내려올때보다 좀 쉽게 금산고개를 오르려 했는데, 능선길이 오히려 힘이들었다. 중간에 10여분 길을 잘못들어 헤메기도 하고. 왼쪽 서대산과 가운데 장령산.오른쪽으로 옥천읍내 바위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곳에서 조망도..

백두대간4(복성이재-봉화산-중재)

남원시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인 복성이재에서 9시 30분 출발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매봉에서 가야할 북쪽을 보니, 왼쪽 장수군 번암면과 오른쪽 봉화산이 보인다. 옅은 안개로 멀리까지 깨끗하지 않은 조망이 아쉽다. 철쭉군락지 전망대에서 뒤돌아본 매봉 찔레꽃향이 좋다. 꼬부랑재쪽으로 가던중 왼쪽으로 번암면 동화저수지가 보인다. 오래된 참나무에서 윗쪽으로만 작은 가지들이 많이 올라와 있다. 저 봉우리가 봉화산정상 정상 정상에서 북동쪽. 왼쪽사진에 가야할 능선과 오른쪽 연비지맥능선이 보인다. 연비지맥은 봉화산-연비산-오봉산-삼봉산-화장산을 이어 함양의 선바위산까지 이어진다. 정상에서 남동쪽. 연비지맥능선과 남원시 아영면. 복성이재에서 봉화산 정상까지는 숲길이었는데, 정상에서부터는 키작은 철쭉으..

백두대간3(통안재-시리봉-복성이재)

GPS오류로 다른사람의 데이타를 이용했다.ㅠㅠ 중간에 시리봉을 다녀오느라 6시간 50분가량. 비가온다는 예보가 있었는데 다행히 산행동안에는 오지않았고, 대전에 도착해 송강친구와 된장찌게로 식사하는중에 비가 왔다. 불당재에서 지리산자락을 본다. 아마 세걸산 고리봉능선인듯하다. 매요마을 가기전 능선 왼쪽으로 88고속도로 확장공사현장. 매요마을회관과 휴게실.막걸리를 2,500원에 판매하고 있다. 대간길에 마을을 통과하기로는 노치마을과 매요마을 두곳인듯 한데, 마을길로 들어서서 길을 찾지못해 두리번 거리니 마을분들이 길을 알려준다. 남쪽으로 보이는 바래봉능선 여기서 5분정도 길을 헤메다. 할미꽃이 활짝피면 오른쪽처럼 된다는것을 알았다. 할미꽃이 시간이 지나면 증조,고조 할미꽃이 되나? ㅎㅎ 88고속도로 확장공사..

백두대간2(덕치리~통안재)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 노치마을-수정봉-챙이밭골-여원재-장치-방애재-관암재-고남산-통안재-권포리. 노치마을은 백두대간을 통과하는 유일한 마을이란다. 노치마을 당산소나무. 능선 왼쪽으로 남원시 이백면 왼쪽 바위위에 작은 불상이 보인다. 운봉읍 장교리 마을. 고남산이 보인다. 고남산을 오르며 정상석은 정상 바로 밑에 있었고, 고남산 정상엔 산불 감시초소가 있었다. 고남산 정상석에서 본 권포리 마을 전경 여기서 뒤풀이. 대전ic 검문소 옆 목련.

천성장마1(천태산-대성산)

작년에 가보고 싶었던 장령지맥중 영동 천태산에서 옥천 마성산까지의 천성장마를 가본다. 한번에 진행하긴 힘들어 두번 나눠 가기로 했다. 1구간으로 천태산-대성산-매봉-금산고개 2구간은 금산고개-장령산-마성산. 3월 5번째 일요일. 그간 툴툴거리던 아내를 꼬득여 동행을 한다. 이 바위 오른쪽으로 로프를 타고 내려간다. 직벽수준으로 위험. 공기돌바위라 안내판이 써있는데, 강아지 뒷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서용희 선생(박달령)의 표식이 반갑다. 정상석은 저 윗봉우리에 있다. 정상석아래에서 오른쪽 하산로로 내려간다. 서대산 금산고개에서 오른쪽 강청리쪽으로 하산. 장찬저수지 현호색꽃. 금산고개에서 강청리로 하산중 길을 못찾아 5분가량 헤메다. 도화. 천성장마를 한번에 진행하는 분들이 많아 중간 하산길은 잘 알려져 ..

팔음지맥(구.금강2교-지매마을)

7월 28일 오후에 비가 온다는 예보가 있다. 산악회에서 금강휴게소 아래로 야유회를 가기로 했기에, 겸사겸사 지난번 마무리 하지 못한 철봉산을 가기로 한다. 지난번 팔음지맥 4번째에서 비에 옷이젖어 중간에 374.1봉 아래 안부에서 지매마을로 내려왔는데, 차량이동관계로 이번 철봉산구간은 구 금강2교에서 시작하여 지난번 안부까지 갔다가 지매마을로 내려온다. 금강휴게소 뒤쪽엔 수상스키를 타며 더위를 즐기는 사람들이 있었고, 구 금강2교쪽으로 가니 마라톤대회가 열리고 있었다. 주주클럽이라 써있던데, 술마시는 클럽인가? 달리고,달리는 모임이란다. 들머리를 찾아 올라서니 길이 풀로 덮여 5분가량 헤메고, 20여분 올라가니, 이런 시설이 있던데... 어떤 시설이었는지 궁금... 작년 철봉산에 갔을때도 뱀을 봤는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