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8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

● 급격하게 발생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상승 현상이 통제를 벗어난 초인플레이션 상태를 말한다. 정부나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과도하게 증대하거나 생산량이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상승으로 인해 거래비용을 급격하게 증가시켜 실물경제에 타격을 미친다. 출처 : 시사경제용어사전 ● 초(超)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한 나라의 경제의 생산능력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신용창조에 의한 유효수요 증가가 물가만을 더욱 누적적으로 등귀시켜 화폐에 대한 사회적 신임이 붕괴되어 가는 상태를 말한다. 출처 : 사회복지학사전, 이철수 외 공저 2009

경제용어 2011.09.07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정도가 심한 것을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라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호황기에는 물론 불황기에도 물가가 계속 상승하여, 이 때문에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사태가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969~1970년 경기후퇴가 지속되는데도 소비자물가는 상승을 계속하였다. 이 현상은 다른 주요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직접적으로는 물가(특히 소비자물가)의 만성적 상승경향에 의한 것이다. 만성적 물가상승은 물가안정을 경제정책..

경제용어 2011.09.07

그린백(Greenback)

그린백(창안자;Spaulding)은 민간은행이나 연방준비제도가 찍어내지 않은, 미국 정부가 찍어낸 달러 화폐로 그 뒷면이 녹색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린백을 처음으로 발행한 대통령은 링컨 대통령이며, 그는 남북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4억 달러에 달하는 그린백을 발행했다. 그 이후에도 그린백은 간간히 발행되었으나, 은행가들의 비난으로(은행가들은 그린백이 귀금속으로 뒷받침되지 않아 치명적인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나마도 발행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연방준비제도의 등장으로 그린백은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린백을 발행한 대통령은 케네디 대통령이지만, 그가 발행한 그린백은 그의 의문사로 제대로 유통되지 못하였다. 출처 : 위키백과

만평(漫評) 2011.09.07

디플레이션(Deflation)

경기가 하강하면서 물가도 하락하는 경제현상. 국제통화기금(IMF)은 ‘2년 정도 물가하락이 계속돼 경기가 침체되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수요부진 또는 광범위한 공급초과로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면서 경제가 전반적으로 후퇴하는 불황을 맞게 된다. 인플레이션이 주로 초과 수요에 의해 발생한다면 디플레이션은 주로 초과 공급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소비자의 구매력을 넘어서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초과공급이 생기면서 가격이 내려간다. 이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물건이 팔리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므로, 소비자는 자기의 소득 가운데 소비로 돈을 그다지 쓰지 않는 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금리는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문제는 금리가 내려가면 기업이 투자를 증가시키고 총수요를 늘려야 함에도..

경제용어 2011.09.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