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2

소득배율(소득분위)

10개 분위로 나누느냐, 5개 분위로 나누느냐에 따라서 10분위 소득배율, 5분위 소득배율이라 한다. 10분위 소득배율은 도시 근로자가구를 월평균소득이 작은 가구부터 큰 가구 순으로 일렬로 세운 뒤 10개 소그룹(분위)으로 나눴을 때 최상위 1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최하위 1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으로 나눠 구한 값이다. 5분위 소득배율은 같은 방식으로 소득이 작은 가구에서 소득이 높은 가구를 일렬로 배열하여 5개 그룹으로 나눈 후, 최상위 20%의 소득을 최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빈부격차가 클수록 10분위 소득배율의 값이 커진다. 소득배율은 우리 경제 전반의 소득분배 상황이 좋아졌는지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부적절하지만 대신 계층별 소득분배상황을 살펴보는 데 유용한 지표이..

경제용어 2011.09.09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

● 급격하게 발생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상승 현상이 통제를 벗어난 초인플레이션 상태를 말한다. 정부나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과도하게 증대하거나 생산량이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상승으로 인해 거래비용을 급격하게 증가시켜 실물경제에 타격을 미친다. 출처 : 시사경제용어사전 ● 초(超)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한 나라의 경제의 생산능력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신용창조에 의한 유효수요 증가가 물가만을 더욱 누적적으로 등귀시켜 화폐에 대한 사회적 신임이 붕괴되어 가는 상태를 말한다. 출처 : 사회복지학사전, 이철수 외 공저 2009

경제용어 2011.09.07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정도가 심한 것을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라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호황기에는 물론 불황기에도 물가가 계속 상승하여, 이 때문에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사태가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969~1970년 경기후퇴가 지속되는데도 소비자물가는 상승을 계속하였다. 이 현상은 다른 주요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직접적으로는 물가(특히 소비자물가)의 만성적 상승경향에 의한 것이다. 만성적 물가상승은 물가안정을 경제정책..

경제용어 2011.09.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