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주산행 310

남진28(큰재-추풍령)

남진산행 28구간 들머리인 상주 공성면 68번 지방도의 큰재에서 시작해 민영봉-국수봉(웅이산)-용문산-무좌골산-작점고개(장동재)-사기점고개-들기산-금산을지나 추풍령을 날머리로 한다. 경북과 충북의 경계인 능선길로 국수봉에서의 조망과 새싹이 움트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남진팀의 올해 시산제가 있었으나 기다리는 것이 마땅찮아 그냥 진행했다. GPS데이타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3756 큰재 들머리 국수봉(웅이산)에서 북동쪽 상주조망 지난해 북진시에는 정상석이 국수봉이었는데, 몇달사이에 정상석이 바뀌었다. 지난해 3월 북진시 사진--http://gemseed.tistory.com/223 용문산에서 내려서면 능선 왼쪽으로 경북..

남진27(지기재-큰재)

지난주 추위는 한풀꺽여 포근할것이라는 예보가 있다. 경북산간에 눈이 내렸다는 예보가 있어 겨울산행 준비를 했지만 내심 눈이 녹아 질퍽거리는 정도겠지 하고 출발. 지기재에 도착해 눈을 뜨니 천지가 하얀 눈이다. 습기많은 눈으로 산행내내 아이젠에 눈이 붙어 걷기 힘들었고, 그렇다보니 뒷꿈치에 물집이 생겼다. GPS데이타보기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3959 능선 왼쪽으로 상주시 공성면 큰재 백두대간생태교육장 남진 지난번 구간과 이번 구간 그리고 다음 구간은 특별한 조망도 없고 산도 나즈막해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젖은 눈만 아니었으면 빨리 끝낼 수 있는 구간이다. 날머리 생태교육장 화장실(북진때 알게된)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었다.

대간22(죽령-고치령)

1월 23일(토) 오늘 내일이 올겨울 가장 춥다는 예보가 있다. 늦게라도 산행취소 안내가 있을까 기대했지만, 역시 대간길은 진행한다. 새벽 3시 대전을 출발한 버스는 5시 50분경 죽령에 도착한다. 들머리엔 그냥 춥다는 정도였는데, 제2연화봉을 지나며 옷들 더입고, 마스크도 하고, 장갑도 두툼한 것으로 바꾸고 진행한다. GPS데이타보기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4016 들머리부터 임도를 따라 1시간 10분가량 오르니 어둠속에 제2연화봉 정상석뒤로 소백산 강우레이더 관측소가 보인다. 강우레이더관측소로 건물 8층은 전망대 이 건물이 천문대인줄 알았는데... 20여분 더 진행하니 천문대건물이 나온다. 저 위가 연화봉정상 연화봉에서 뒤돌아..

남진33(동엽령-육십령)

남진 33구간은 동엽령-무룡산-삿갓봉-남덕유산-서봉-할미봉-육십령 새벽 6시 출발한 버스는 휴게소를 한번 들린후 7시 30분경 들머리 안성탐방지원센터앞에 도착한다. 지난 32구간때 덕유산설경을 보지 못해 아쉬웠는데, 그간 눈이 내려 오늘 구간은 기대가 된다. GPS데이타 보기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4121 7시 30분 안성탐방지원센터를 통과해 동엽령으로 오른다. 잠시 쉬어가는곳 이곳을 지나자 설경은 새로운 모습이다. 동엽령오르는 계단 1시간 30분가량 오르면 동엽령. 동엽령에서 설천봉과 중봉뒤로 향적봉과 백암봉 설경을 보다. 돌탑이 있는 봉을 향해 가야할 남쪽능선 벛꽃이 핀듯 하다. 동엽령에서 1시간 30분 진행하면 무룡산. 무..

대간21(저수령-죽령)

작년말 남진 죽령-저수령구간을 갈때 눈이 많아 묘적령에서 하산했는데, 이번 북진 산행때는 흐린날에 마른 갈잎을 밟고 진행하다 묘적봉지나며 해가 보이자 조망이 트여 도솔봉의 멋진 상고대를 볼 수 있었다. GPS데이타보기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4173&page=1 싸리재 그네^^ 오늘 거리의 1/3쯤 왔다. 철탑지나 983봉을 올랐다 내려서면 뱀재 헬기장 환경부 생태도에는 1100.6m로 되어있는데... 묘적령으로 진행하다 11시 1026봉에서 점심 묘적령에서 자구지맥이 갈라지는데 여기서 잠시 지맥길로 알바후 되돌아옴. 지난번 남진때 묘적령에서 오른쪽 사동마을로 내려섰던 기억에 보이는 표지석 오른쪽(진행방향으로 왼쪽이었다)으로 길이..

남진32(신풍령-동엽령)

2016년 첫 산행은 1월 2일 신풍령(수령,빼재)에서 전북과 경남의 경계인 능선을 따라 백암봉을 거쳐 동엽령까지 간다. 7시 출발한 버스는 8시 35분경 신풍령에 도착 산행을 시작한다. 작년 북진때 사진 http://gemseed.tistory.com/214 GPS위성사진으로 보기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4296 빼봉 대봉에서 본 덕유산 능선 남쪽 송계사가 있는 소정리 지봉에서 본 덕유산 가운데 중봉과 오른쪽 향적봉 지봉지나 헬기장에서 본 덕유산 헬기장에서 남쪽. 멀리 지리산능선도 보이고 헬기장에서 본 가야할 능선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 작년 남진때 이마를 부딛혔던 나무. 이번에도 부딛히고... 왼쪽 백암봉과 오른쪽 중봉..

대간20(차갓재-저수령)

북진 20구간은 작은 차갓재-황장산-벌재-저수령. 일기는 맑지만 쌀쌀하고 연무로 조망없음. 5시 출발해 안생달마을에 도착하니 7시 20분.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라 서둘러 들머리에서 작은 차갓재로 오른다. 황장산 민박집앞을 지나 들머리로 버스에서 내려 20분가량 오르니 작은차갓재. 보이는 980봉(암봉)에서 오른쪽(남쪽)으로 황장산. 오른쪽으로 안생달마을 980봉지나 처음만나는 로프구간을 오르고 나면 또다시 바위에 묶인 로프를 잡고 조심스레 진행하면 황장산 정상석이 보인다. 황장산 정상석을 새로 세우려는듯. 황장산 둘레길을 조성한다는 얘길 들었는데, 안생달에서 오르며 보니 군데 군데 시설물자재가 쌓여있었다. 황장산 정상모습 황장재로 내려서기전 동쪽암벽 이곳은 판상절리지형으로 바위가 넓적하게 생겼다. 로프가..

남진26(화령-지기재)

12월 19일 남진산행은 겨울철 월악산과 속리산권역의 위험지역을 피해 26구간 상주 화령에서 윤지미산-신의터재-지기재까지 간다. 7시에 출발한 버스는 휴게소에서 한번 쉬고 8시 45분 화령에 도착한다. 아침이라 아직 쌀쌀하지만 낮시간이 되면서는 포근한 겨울날로 산행가기는 좋았다. 다음 산행은 덕유산권역을 진행하고 이후 지나쳐온 소백산권에서 다시 이어간단다. 10분남짓 오르면 청주-상주간 고속도로.. 화령에서 1시간 30분정도 오르면 윤지미산 무지개산 갈림길까지는 2시간이 채 안걸린다. 무지개산은 대간길에서 약간 벗어나 있지만 이름이 이뻐서 다녀온다. 동네 뒷산같은 대간길 오른쪽으로는 상주시 화동면 선교리마을 신의터재 대간길 상주 봉황산에서 시작해 팔음산을 지나는 작은 산줄기는 옥천 철봉산까지 이어지는데 ..

대간19(하늘재-차갓재)

북진19구간은 문경 하늘재-포암산-관음재-마골치-꼭두바위봉-대미산-백두대간중간지점-차갓재. 겨울 강원권을 피하기 위해 29구간(댓재)-36구간(미시령)을 먼저 하고 이제 다시 이어간다. 5시 대전을 출발한 버스는 7시 10분경 하늘재에 도착한다. 사진찍기위해 계단을 조금 올랐다 내려간다. 들머리는 현재 출입제한구역(월악산권역)이란다. 오른쪽 포암산을 향해~ 돌성의 흔적도 보이고 샘터가 있고, 샘터앞엔 넓은 바위가. 해가 떠오르고 만수봉쪽으로 마골치. 왼쪽으로 만수봉(2.1km) 대간길은 목책을 넘어 진행해야 한다. 중간에 얘기를 들으니 앞서간 사람들중 일부가 만수봉쪽으로 갔단다. 능선 오른쪽 문경읍내 멀리 주흘산. 꼭두바위봉에서 주흘산과 18구간때 지나온 탄항산 꼭두바위봉아래 로프구간 2곳의 로프구간이 ..

남진16(죽령-저수령)

남진산행 처음부터 지난 14구간까지 무박산행으로 힘들었는데, 통제구역인 15구간을 지나 16구간부터 당일산행으로 진행한다. 대전서 7시출발 죽령에 도착하니 10시. 서둘러 들머리로 접어들며 gps를 확인하니 아직 위성을 잡지 못한다. 가끔 위성을 잡는 시간이 지체된 경우가 있는데, 오늘도... 10여분 지나 전원을 껐다 다시 켜니 위성을 잡는다. 묘적령에서 사동리쪽으로 탈출. 남진 첫 눈길을 걷게되어 선두팀의 러쎌도 버거웠고, 예상보다 시간이 지체되어 전체가 묘적령에서 탈출하기로 하였다. 덕유산 눈꽃못지 않은 설산과 눈꽃으로 즐거운 대간길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