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전체보기 553

한강(장승재-작은삼마치)

지난달 왼쪽 발목을 다쳐 2달 정도 쉬었다. 십승지팀의 공작산환종주에 한강기맥중 빼먹은 구간이 있어 살금살금 따라가 보기로 했다. 산행기도 한꺼번에 올리다 보니 사진위주로 흔적만 남기는 아쉬움이 있다. 630.5봉 500m가량 철망옆으로 진행후 이곳에서 왼쪽. 개고개 519.4봉 지나며 오른쪽. 739.4봉 작은삼마치. 내려오는길이 급경사. 진행방향 왼쪽 웃어둔리로 내려갔다. 오는길에 횡성 공근리 금나루 횡성한우에서 저녁식사. 금계문화교류센터 옆.

방태산(하니동-개인산약수터산장)

들머리에 들어서니 계곡물이 넘쳐흐른다. 신발벗고 넘어가기도 하고, 일부는 다른 코스로 진행하기도 하고. 준비해간 물놀이 신발로 갈아신고 계획대로 진행했다. 여러번 이런 물을 넘어 정상이 가까와 진듯하다. 북동쪽 조망. 가까이 배달은석 암봉(1415m)과 오른쪽 주억봉. 깃대봉 정상은 좁아서 2~300m쯤 진행해 점심. 북동쪽. 왼쪽 멀리 설악산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점심먹고 내려서다 왼발을 삐끗. 배달은석으로 간다. 뒤돌아본 깃대봉 삐끗한 왼쪽 발목이 부담되서 주억봉을 포기하고 개인약수쪽으로 하산. 당분간 산행이 어려울듯하다.

일반산행/2023 2023.11.12

지리산(성삼재-문수암-왕시리봉-토지면)

노고단대피소 공사중 왼쪽 멀리 왕시리봉, 좌중간 형제봉,월령봉능선, 화엄사골 오른쪽 차일봉,원사봉능선. 편한길로 내려오다 준비한 트랙과 벌어지는 듯하여 트랙을 따르다 200m가량 너덜길로 개고생. 해서. 편한길 트랙을 올렸다. 그냥 길따라 내려오면 된다. 문수암을 등지고 왼쪽으로 내려서면 해우소 뒤로 내려갈 수 있는데... 좀 위험하다. 그냥 들어왔던 곳으로 내려서는 것이 편하다. 문수암 직전 너덜길 알바를 하는 바람에 20분정도 뒤쳐졌다. 돼지령에서 내려오는 능선과 맞나기 전에 약간의 너덜과 산죽을 헤쳐왔다. 별다른 표식이 없는 왕실봉에서 잠시 쉬고 질등을 우회해 1102.2봉을 향할쯤 키보다 큰 산죽밭을 거친다. 문바우등 멀리 보이는 왕시리봉 가운데 왕시리봉과 오른쪽 문수골 1153.5봉에서 오른쪽길..

일반산행/2023 2023.06.18

김삿갓1(의풍 마포천)

김삿갓문학관앞에서 곰봉(929.2봉) 갈림길 961.1봉 곱돌재 어래산 직전봉. 북동쪽-강원도 영월군, 남동쪽-경상북도 영주시, 서쪽-충청북도 단양군. 회암령 대간길과 만나다. 바로 위 선달산을 다녀와서 늦은목이로 내려선다. 늦은목이에서 왼쪽 상운사(옛.용운사)쪽으로 내려섰다. 상운사입구에서 600m가량 내려가면 계곡물이 있다. 별다른 조망처는 없지만 외씨버선길과 겹쳐 다른곳과 달리 진행이 수월했다.

지리산(성삼재-화개장터)

노고단대피소 공사중. 우회 오른쪽 임도로 노고단 고개까지. 노고단엔 오르지 않고. 대판 임걸령 샘. 노루목 갈림길 갈림길 오른쪽 전망바위에서 좌중간 불무장등, 그 오른쪽1350.2봉, 가운데 질등, 뒤에 문바우등(?). 바위틈샘 삼도봉 삼거리 이정목 왼쪽 연통골계곡과 멀리 삼신봉능선, 가운데 불무장등과 통꼭봉, 우중간 멀리 백운산, 오른쪽 노고단. 내려서는 길에 가슴높이 산죽 통꼭봉까지 크고 작은 산죽길. 881.6봉 동쪽. 쌍계사. 건너편 산줄기는 삼신봉에서 남서쪽으로 뻣은 청학봉-형제봉 능선. 왼쪽 화개천과 쌍계사, 가운데 촛대봉, 오른쪽 내서천과 피아골로, 멀리 광양 백운산. 선바위 583.4봉 촛대봉이후 한참 내려섰다. 왼쪽에 화개장터가 보이고 작은재에서 한참 내려왔다. 가운데 섬진강 남도대교, ..

일반산행/2023 2023.06.06

십승지 영월 석항천3(미륵고개-수라리재)

걱정하며 올라서다. 아라리고개까지는 땅만 바라보고 올라왔다. 아라리 고개에서 10분 남짓 오르니 갈림길. 두위봉에 다녀온다. 두위봉 정상은 저기. 철쭉비 있는 곳에 실제 두위봉이 가까우니 가본다. 두위봉에서 동쪽. 멀리 희미한 백운산. 철쭉비있는 봉 되돌아 오다. 처음 보는 노랑무늬붓꽃 갈림길로 내려오다 가야할 서쪽. 좌중간 질운산, 오른쪽 지나온 1342.2봉. 되돌아와 두위지맥 방향(사진 왼쪽)으로 내려서는 길은 키작은 산죽밭 임도 사거리 만나기 직전 마루금을 버리고 오른쪽 오래된 임도로 내려왔다. 저 앞에서 왼쪽으로 오른다. 마루금으로 왔다면 차단기 왼쪽으로 내려왔을 것이다. 뒤돌아 보다. 새비재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타임캡슐공원. 우중간 멀리 첫구간 곰봉이 뾰족하다. 922.2봉 삼각점 뱃재 예미산..

비금도(그림산-성왕산)

오랜만에 일반산악회 버스를 타고 섬산행을 했다. 전남 신안군 비금면 비금도 그림산-성왕산. 생각에 목포 북항에서 배타고 비금가산여객선 터미널로 갈것이라 생각했는데... 대전서 6시에 출발한 버스가 목포 북항으로 향하는게 아니고 무안광주간 고속도로를 타고 무안공항IC에서 77번국도따라 김대중대교를 건너 압해도, 천사대교 건너 암태도 남강항 여객터미널에 9시47분 도착했다. 10시 30분 남강항을 출발한 배는 11시 10분경 가산여객터미널에 도착한다. 가산에서 15분가량 25인승 버스를 타고 서남문로 산행 들머리로 향한다. 들머리 안내판 98.6봉 그림산 대나무가 많아 죽치라 하는 모양이다. 선왕산. 10여년전 지도엔 이곳이 그림산으로 표시돼있다. 동쪽. 한산저주지와 오른쪽 그림산. 선왕산에 오르니 조망이 ..

일반산행/2023 2023.04.30

십승지 영월 석항천2(고성고개-덕삼교)

동강쉼터간판앞에서 고성고개로 올라선다. 쉼터입구에서 아주머니 두분이 사유지 땅이라며 길을 막는데, 두릅철이라 채취를 막기위해서 란다. 어찌어찌 사정하며 올라섰다. 고성고개에서 1.5Km가량 진행했을때 커다란 배낭(100리터쯤?)에 두릅을 가득따 내려서는 분이 있어 물어보니 오른쪽 사면이 참두릅 밭이란다. 관리하는 사람이 없어 마을 사람들이 채취한단다. 오름 경사가 심하다. 이번 구간은 멧돼지가 파헤쳐놓은 낙엽길이라 진행이 쉽지 않았다. 876.2봉에서 내려설때 미구치 왼쪽에 고고산이 보이고 점판암(slate) 각시붓꽃 935.9봉 오름이 거칠다 낙엽쌓인 내리막 경사가 심해 조심 조심. 823.5봉 왼쪽에 완택산이 보인다. 733.5봉 직전 왼쪽으로 복덕원 하산길. 908.6봉 897.0봉 강원남로 건너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