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전체보기 548

남진17(묘적령-저수령)

GPS데이타 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1560 지난 겨울 죽령에서 저수령까지 진행하려 했던것이 전날 내린 눈으로 길찾기 힘들어 묘적령에서 마무리했었는데, 이번에 묘적령에서 저수령구간을 진행한다. 사동리 마을에서 출발 사동마을에서 각시붓꽃 후덥지근한 날에 땀 닦기 바쁘다. 마지막 데크를 올라서면 묘적령에 이르는데, 정상석은 오른쪽 봉으로 조금더 올르면 볼 수 있다. 북진산행시 여기서 잠시 헛갈렸던 곳이다. 남진시엔 오른쪽 표지기 있는 곳으로 올라 우회전으로 진행. 북진시엔 묘적령 정상석 뒤쪽에서 내려서 오른쪽 표지기쪽으로 좌회전 진행해 잠시 내려서면 사동리갈림길이 나온다. 사진찍은 위치로 진행하면 자구지맥길이다. 말발도리. ..

낙동1(매봉-통리)

GPS데이타 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2386 북진 대간길을 마치고 신백두대간 개념의 지리산 영신봉에서 남해 노량까지를 4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대간길만 걷고 싶었는데, 정맥길을 걷자는 의견들이 많아 참여를 고민하다 함께 걷기로 했다. 낙동정맥은 삼수령에서 부산 몰운대까지 21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낙동정맥 분기봉은 매봉산이지만, 귀차니즘으로 여기서 정맥길을 시작한다. 백두대간로를 횡단한다. 왼쪽은 피재정상 오른쪽은 태백시 삼수동쪽 Kwater태백권관리단쪽 임도로 내려서면 오른쪽으로 매봉산 풍차가 보인다. 진행방향 오른쪽으로 함백산도 보이고 뒤돌아보니 매봉 풍력발전시설도 보인다 구봉산에서 내려서서 이..

둘레산길 8구간

길마재산 우산봉에서 세종시 길옆 누운 소나무 샘터 유성구에서 을 지정했는데, 둘레산길 8구간과 겹치는듯 하다. 이곳에 갑동이와 효자샘물이라는 푯말을 세워 놓았다. 반포면 공암리 갈림길 반포면 공암리 전경 지나온 구간길 뒷봉우리가 우산봉, 오른쪽봉우리가 구절봉. 계룡산과 아래 학봉마을 신선봉 현충원과 노은동전경 뒤돌아본 신선봉 갑하산 헬기장 새로 만들어진 갑하산 쉼터 이곳에서 묘지 왼쪽으로 진행. 묘지앞 이정표 방향표시가 어긋나 있다. 8구간 삽재로 내려서려면 묘지왼쪽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방향표시는 묘지 오른쪽으로 되어있다. 묘지 오른쪽으로 진행하면 통신중계기를 지나 사봉마을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삽재교차로 삽재 건너편 옥녀봉과 도덕봉. 8구간 삽재로 내려가는 길은 포토존이 있는 이곳 직전 작은 봉에서 ..

일반산행/2016 2016.06.02

남진15(고치령-죽령)

GPS데이타 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1561 좌석리에서 트럭타고 고치령으로 이동(운전이 거침) 들머리에서 30여분 오르면 칼바위 갈림길 전 작은봉에 돌성의 흔적이 있다. (왼쪽 우회로도 있음) 칼바위 갈림길 마당치 형제봉 앵초 관중 연화동 갈림길 연화동쪽으로가면 좌석리로 내려갈 수 있다. 간간히 철축꽃이 있는 편안한 능선길이 이어진다. 신선봉 갈림길 늦은맥이재 늦은맥이 이정목 벌깨덩굴꽃 끝이 아직 피지않은 관중 상월봉에서 남서쪽으로 국망봉 북쪽 신선봉과 걸어온길 뒤돌아본 상월봉 국망봉에서 남서쪽가야할 능선과 오른쪽사진 소백산 정상인 비로봉 멀리 보이는 산이 황장산인듯하다. 뒤돌아니 왼쪽 국망봉과 오른쪽 상월봉 지난 겨울 ..

신백두대간1(영신봉-고운동재)

GPS데이타 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2798 홀로 이산 저산 다니다 대전 둘레산길을 알게돼 종주산행을 하며 산경표, 백두대간, 정맥이란 말도 알게되었다. 3~4년전 대간병(종주산행의 맛들임)에 2014년 초 모 산악회 대간 종주산행에 지리산부터 몇차례 참여했으나, 월 1회 진행하는 관계로 2014년 가을 월2회 진행하는 산악회로 옮겨 다시 지리산부터 진부령까지 종주하여 2016년 봄에 완주하게 되었다. 마칠무렵 신백두대간이라는 개념의 산줄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기존 백두대간에서 연장된 산줄기를 4구간으로 나누어 남진하기로 한다. 1구간 영신봉-고운동재를 진행하며 자주 낙남정맥이란 표식을 보게됐는데, 이리 저리 검색..

남진36(복성이재-여원재)

2일전부터 목감기 증상이 있고, 하체가 땡긴다. 미세먼지가 많을것이라는 예보도 있다. 북진산행을 마치고 긴장이 풀려서 그런가? GPS데이타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2847&page=1 왼쪽 복성이재에서 걷다 보면 작은 고개길에 이정목이 보인다. 이정목 왼쪽(보이는길 직진방향)으로 가면 성리(흥부마을 1.5Km)로 갈 수 있고, 대간길은 오른쪽으로 올라선다. 아막산성 왼쪽으로 성리(흥부마을) 무너진 성벽돌로 탑을 만들어 놓았다. 이나무는 여전하고 지나온 매봉과 복성이재에서 막 넘어온 작은 봉우리 뒤쪽에 봉화산과 마을 뒤쪽으로 연비지맥능선도 보고 이 바위도 여전하고 장수군 번암면과 남원시 아영면의 경계에 있는 새맥이재. 동쪽으..

남진35(중재-복성이재)

GPS데이타 보기 ; http://www.everytrail.co.kr/detailgps.trail?gps_id=99972848&page=1 지지계곡 삼거리 도로에서 중(고개)재까지 20여분간은 산죽과 좁은 등로로 오르내림이 쉽지않다. 구간을 자를때 중치로 정하는것이 좋다. 중(고개)재에서 중치까지는 30여분 오른쪽 지지계곡 건너편으로 장안산 월경산은 대간길에서 조금 벗어나 있지만 왕복 10분정도 거리이기에 다녀오다. 갈림길 월경산 갈림길에서 광대치까지는 30분남짓 광대치에서 봉화산까지는 오름길 넓은 조망바위에서 동쪽 함양군 백전면일원 싸리꽃 오른쪽 봉화산에서 남동으로 흐르는 연비지맥능선 연비지맥 왼쪽으로 경남 함양군 백전면(왼쪽사진), 오른쪽은 전북 남원시 아영면(오른쪽사진) 할미꽃 아영면 송리마을, ..

반응형